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음주, 흡연, 비만이 대장암의 주범 [현재근 소화기 내과 전문의]

얼마 전 70세 남자가 갑작스런 체중감소(2개월 사이에 7파운드 감소)로 본원을 방문했다. 환자는 과거에 다른 병원에서 위 내시경과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았고, 검사 결과는 정상이었다.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때문에 암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 내시경 검사를 다시 시행, 횡행 결장에 암으로 의심되는 병변이 발견되어 조직 검사결과 대장암으로 확진됐다. 현재 환자는 수술 후 완치된 상태로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 2009년 한국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2만 건의 대장암이 발생하였고, 남녀 성비는 1.8대1로 남성 발병률이 좀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전체 대장암의 90%가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생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인 대장암 발병률은 세계 4위,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1위를 차지해 충격을 주고있다. 대장암의 원인은 크게 환경적인 요인, 식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도한 음주, 흡연, 비만은 대장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규칙적인 운동은 대장암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동물성지방, 쇠고기, 돼지고기의 과다한 섭취, 채소나 과일 같은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적게 섭취하면 대장암의 위험이 증가한다. 전체 대장암 중 5%만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장 용종이나 대장암의 가족력, 당뇨병,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을 오래 앓았던 환자도 대장암 고위험군에 속한다. 대장암의 증상은 암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다르다. 오른쪽 대장(상행결장)에 암이 발생한 경우는 설사, 복통, 복부 팽만, 빈혈, 체중 감소, 덩어리가 만져지는 증상들이 생길 수 있고, 왼쪽 대장(하행결장)에 암이 발생한 경우는 변비, 갑작스런 배변 습관의 변화, 장 폐색, 혈변, 점액변 등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대장의 맨 마지막 부분인 직장에 암이 발생한 경우는 배변 시 통증 또는, 배변 후 변이 남아있는 느낌 등이 있을 수 있다. 대장암 진단을 위해서는 대장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서 대장암의 위치와 침범 범위 그리고 조직검사를 통해 최종 진단하게 된다. 조직검사를 통해 암으로 판명이 나면 암이 주변 임파절이나 간, 폐 등의 원격 장기에의 전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흉부 X-ray와 복부 CT, 또는 MRI 촬영이 요구된다. 대장암이 원격 장기에 전이된 소견이 없으면 수술을 한다. 종양의 발생 위치에 따라 수술 범위가 결정되는데, 암이 상행결장에 발생한 경우에는 대장의 오른쪽 반을 절제하게 되고, 암이 하행결장에 발생한 경우에는 대장의 왼쪽 반을 절제하게 된다. 만약 CT나 MRI 검사에서 암의 전이가 확인이 되면 항암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해야 한다. 수술 후 대장암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액검사, CT 검사,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혈액검사 중 CEA라는 종양 표지인자는 3~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되는지 살펴야 하는데, 만약 정상이었던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시사하는 소견이 될 수 있다. 대장 내시경 검사는 대장암 수술 후 1·3·5년 후에 받아 수술 부위나 남아 있는 대장에 암이나 새로운 용종이 재발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후 1·3·5년 3차례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암이나 용종이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에는 5년마다 내시경 검사를 받으면 된다. ▶문의: 718-321-3210 ▶hanagastro@gmail.com

2015-05-14

한국인의 소화기 암 중 1위를 차지하는 위암 [현재근 소화기 내과 전문의]

실제환자의 증례 42세 여자 환자가 최근 6개월전부터 시작된 소화불량증세와 오심으로 약국에서 제산제 등을 복용하면서 지내보던 중, 증상의 호전이 없어 본원을 방문하여 위 내시경 검사 후 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았으나, 이미 암이 위 주변의 여러 임파선으로 전이된 소견을 보여, 위암3기로 판정을 받았다. 환자는 수술 후 힘든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잘 이겨내고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다. 위암의 위험인자 위암은 우리나라 소화기 암 중에서 1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최근 건강검진에서 내시경 검사가 포함되고, 헬리코박터균의 제균 요법으로 인해서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국인에서 가장 흔한 소화기 암은 위암이다. 헬리코박터균이 위암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입증이 되었고, 위축성 위염이나 위암의 가족력, 예전에 양성 질환으로 위 수술을 받은 과거력 모두 위암의 위험인자이다. 짠 음식, 절인 음식, 고지방식, 육류의 과다 섭취는 위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반면 신선한 과일과 야채 섭취는 위암의 발생위험을 30-50% 정도 감소시킨다. 흡연 또한 중요한 위험 인자 중의 하나인데,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위암의 발생을 2배 가량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만성위염은 위축성위염 (chronic atrophic gastritis), 장 상피화생(intestinal metaplasia), 이형성(dysplasia)이라는 3단계를 거쳐 조기 위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암은 크게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으로 분류하는데, 조기위암은 위암세포가 주변 임파절의 전이여부와 관계없이 위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를 말하며, 진행성 위암은 위암이 점막하층 이하로 병이 진행된 경우를 의미한다. 위암의 증상과 진단 위암의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식후 복부 불쾌감, 오심, 구토, 체중감소, 식욕감퇴 등이 있으며, 조기 위암 환자의 80%는 무증상이거나 증상이 있더라도 소화불량 증상이 대부분이다. 어떤 환자는 증상 없이 체중 감소나 빈혈로 병원을 찾아 위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조기 위암의 경우는 건강검진 위 내시경 검사에서 진단되는 경우도 흔하다. 위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위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위 내시경 검사에서 위암으로 의심되는 병변이 발견되면 조직검사를 시행하게 되고, 이 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이 되면 위암으로 확진이 된다. 그 다음 단계는 위암이 조기 위암인지, 진행성 위암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추가로 내시경 초음파 검사와 복부CT 검사가 필요하다. 내시경 초음파 검사를 통해 위암이 위벽에 얼마나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는지 보고 위 주변 임파절로의 전이여부를 조사한다. 복부 CT검사는 간이나 폐 등 원격장기에 위암이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보기 위해 필요하다. 위암의 치료와 예방 위암의 치료에는 수술요법, 내시경치료, 항암치료 등이 있다. 조기위암의 경우는 수술 또는 내시경적 절제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진행성 위암의 경우는 수술 후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조기위암의 경우,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90-95% 로 예후가 좋으나, 진행성위암의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다. 조기위암의 경우, 수술 후 1년마다 추적 내시경 검사를 통해, 수술 부위에 암이 재발했는지 여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위암의 예방을 위해 가장 권장되는 것은 40세부터 시작하는 위암 선별 내시경 검사이다. 위 내시경 조직검사에서 헬리코박터 균이 발견이 되면, 만성 위염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권장되고, 장상피화생 (intestinal metaplasia)이라 불리는 진행된 만성위염의 소견이 보이는 경우에는 2-3년마다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통해 만성위염이 조기위암으로 발전여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문의: 718-321-3210 ▶hanagastro@gmail.com

2015-05-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